[무작정따라하기] Github-Jenkins 연동설정 & 자동빌드_2

2017. 7. 27. 11:36카테고리 없음

지금까지 jenkins에서 작업을 만들어서, 그 작업에 어떤 저장소로부터 프로젝트를 불러와서 어떤 시기에 build를 하게 될 지에 대한 jenkins의 설정정보들에 대해서 알아봤다면, 이제는 만약 로컬저장소로부터 github의 원격저장소로 push가 되었을때, jenkins의 작업공간을 github의 webhook을 이용해서 찾아주어야 합니다. github의 자신의 계정을 들어가서 앞에서 jenkins 작업공간에 설정해두었던, 저장소를 들어가 보겠습니다.

Github의 Jenkins와 연결설정 & 연동확인

  1. 자신의 github 저장소에 들어가서 setting을 클릭하세요


  2. Integration & service 를 클릭하세요


  3. Services 부분에 Add service라는 부분을 클릭하고, 검색창에 github 라고 검색한 후 jenkins (github plugin)을 선택하세요


  4. Jenkins URL 에 jenkins를 접속중인 해당 주소를 복사하고 뒤에 /github-webhook/이라고 써주고 Add service라고 등록합니다. 여기서 말하는 주소는 Jenkins를 실행시킬때 웹브라우저 창에 쓰는 주소를 뜻합니다.


  5. 이렇게 등록이 된 화면을 볼 수 있습니다.


  6. Jenkins로 돌아가서 앞전에 만들어 놓았던 dockerboard(board라고 만든것을 다시 만듬) 작업공간을 클릭합니다.


  7. Build Now라는 버튼을 클릭하면 처음연동설정에 따라 Github저장소에서 build를 해옵니다. 저는 test상 여러번 build 를 해왔기 때문에 #4번째 빌드임을 표시 받고 있습니다. 아마 처음 빌드를 하게 되신다면, #1로 표시될 것입니다.

  8. 이제 #4를 클릭하게 된다면 로컬저장소에서 커밋된 내용들과 누가 commit을 했는지에 대한 정보들, 변경된 내용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지금은 변경된 내용없이 build만 했기 때문에 변경된 내용은 표시 되지 않습니다.


  9. 연동이 되는 것을 확인 해 보았습니다. 이제 정말 빌드를 유발한 대로 gitbash를 열어서, 자신의 속한 저장소에 (제가 간단하게 구현한 node.js 프로젝트) 입니다. 이 프로젝트의 내용을 수정하여 push 해보겠습니다.


  10. push 를 했기 때문에 jenkins에서 정말 자동으로 빌드를 했는지에 대해서 확인 해 볼 수 있습니다. #5가 자동적으로 생성되어 push한 내용들을 자동으로 build 된 것을 확인 할 수 있었습니다. 변경된 사항을 하기 위해서는 #5로 들어가서 detail부분을 들어가서 확인하는 방법이 있습니다.